금가격과 미국달러는 반대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미국달러가 23년 겨울부터 조금씩 강세가 꺾이기 시작했고 금가격은 오히려 1825.5로 상승하기 시작했습니다.
금투자에 관심이 있다면 " https://www.gold.org" 이 홈페이지를 꼭 눈여겨보아야 합니다.
대부분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고 합니다.
각 나라의 중앙은행이 22년 하반기에 400 톤 이상을 사모으고 있다고 합니다.
1967년 이후 55년만에 가장 많은 금을 각 나라의 중앙은행들이 사모으고 있다고 하네요.

금투자방법

1. 실물에 투자하는 방법

은행에서 만드는 '골드뱅킹'
=쉽게 만들 수 있지만, 사고팔대 수수료 1% 나감 , 차익을 보면 15.4% 세금을 내야 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KRX = 금거래
금은방에 가서 골드바는 절대 사지 마세요 ㅎ 투자로서는 권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2. 관련주식에 투자하는 방법 (금광에 투자)

> 금펀드 ' 골드 마이닝 펀드'(Gold Mining Fund)
= CMA, 위탁계좌에서 쉽게 매수가능하나, 금광 회사의 주식을 사는 개념이라 금가격과 동일하게 움직이지 않는다
또한 장기 보유시 보수부담이 생긴다.

3. 국내주식시장에서 사는 '금선물 ETF'

- 주식을 매수하는 방법과 똑같다
- 펀드 대비 보수가 낮은 것도 장점
- 원달러 헷지가 되어 있습니다.

4. 미국 주식시장에서 사 오는 금 ETF

- 세상에서 가장 큰 금 ETF를 살 수 있습니다
-금현물로 담을 수 있고 , 보수가 낮고 달러로 매수합니다. 하지만 수익이 많이 나면 양도소득세의 부담이 있습니다.

5. KRX 금현물

- 증권사에 전용계좌를 만들고, 1g씩 사서 담을 수 있고, 출고신청도 가능합니다
- 차익에 대해 비과세 혜택
- 증권사 수수료 0.2~ 0.3% 내야 하는 것이 단점
금현물 개좌개설은 비대면이나 온라인으로는 할수 없고 직접 방문해서 개설해야 한다고 합니다.

이중 가장 추천드리는 방법은 KRX금시장을 통해서 투자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무제한 세금이 없습니다.

금융소득종합과세-비과세, 양도소득세/배당소득세-비과세, 부가가치세- 면세, 관세- 면세
1그램당 거래가 이루어져서 소액투자도 가능
KSD 한국예탁결제원에서 금을 안전하게 보관해 주니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합니다.

금은 안전 자산이죠. 전 세계적인 양적 완화로 돈이 너무 많아져 그 결과가 지금 나타나고 있죠.
또한 금을 대체할 것이라고 예상했던 비트코인조차도 아직은 위험자산입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또한 금가격이 오르고 있죠

경제가 어려울 때 금가격이 오르게 됩니다
금은 주식, 채권과 낮은 상관관계가 낮습니다. 포트폴리오를 짤 때 주식, 채권, 현금, 금 이렇게 구성해 주면 좋습니다

금현물 ETF

" KINDEX KRX 금현물 ETF"

장점 : 전용계좌 필요 없음, 일반계좌, 연금저축, ISA, IRP 어디서든 매수
달러로 투자, 금현물은 국제금가격으로 매매
낮은 거래 수수료

단점
ETF로 과세-차익에 대해서 15.4% 배당소득세를 과세
보수가 있음, 연 0.5% 수준
골드바 인출이 불가함

오늘은 금투자에 대해 글을 써 보았습니다. 투자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네요.
본인의 취향에 따라 ETF로 할 것인지 KRX금시장중 선택을 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