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국내배터리 3사에 대해 공부해 보았습니다.
국내 배터리업계는 기술력 경쟁이 한창인데 수주량도 1000조 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 바고 합니다.



LG 에너지 설루션
소형. 중소형 배터리가 서업영역
니켈 함량이 90% 인 NCMA ( 니켈. 코발트. 망간. 알루미늄)를 상용화해 테슬라의 모델 3과 모델 Y, GM의 허머 EV 등에 공급 중입니다.
이 배터리는 코발트 비율을 5% 이하로 줄이고, 니켈 비율을 90% 로 높였습니다.
또한 알루미늄을 추가해 안정성을 강화했습니다
올해 하반기 4680 배터리 양산.
시자 점유율은 12.3%

SK 온
- 중형 배터리
- 고밀도 세계최초 하이니켈배터리 개발
- z- 폴딩에서 내부화재의 주요 원인인 ' 내부단락'을 최소화하는 기술이 있습니다.

코발트 없이 기존 삼원계( 니켈. 코발트. 망간) 제품이상의 성능을 가진 시제품을 최근 개발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는 예상보다 1년 앞당긴 것이라 합니다.
코발트 함량을 0으로 낮추는 대신 니켈이나 망간 비중을 높이는 방식으로 코발트 프리 제품을 만들어 냈습니다.
그간 코발트 프리 배터리엔 구조적인 문제가 있었습니다.
코발트 함량이 적으면 배터리 수명이 짧아지고 주행거리 역시 줄어든다고 합니다.
CATL, BYD 같은 중국업체는 코발트를 사용하지 않는 ' 리튬인산철( LFP)' 배터리를 주력으로 생산하는 중입니다. 하지만 이 배터리는 가격이 저렴한 대신 겨울철 같은 저온 상황에서 성능이 급격히 나빠진다고 합니다.
sk온은 포드와 합작 투자를 하고 있고 시장점유율은 5.9% (5 위)

삼성 SDI
- 소형. 중대형 배터리+ 전지 재료
- 2027년 전고체 배터리 양산 목표
- 니켈 함량 88% 이상 ' 젠 5' 생산 중
- 합작투자 : 스텔란티스
- 시장점유율: 5%(6 위)

코발트는 리튬. 니켈. 흑연과 더불어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원료입니다.
삼원계 배터리 소재 중 가격이 가장 비싸다.
2차 전지 금속원가에서 40%가량 차지합니다.
코발트는 전 세계매장량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콩고민주공화국에서는 생산권을 놓고 분쟁 중이라고 합니다.
채굴과정에서 인권 문제도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코발트 프리 배터리가 양산된다면 이런 문제에서도 자유로워질 것이라 예상되네요
코발트가 대부분 중국에서 제련되는데 IRA에 따르면 중국산 광물 재료가 일정비율 이상 들어간 배터리를 실은 전기차는 미국에서 보조금을 받을 수 없다고 합니다.
역시 미중 갈등이 우리에게도 많은 영향을 주는것 같습니다.
오늘은 국내 배터리회사에 대한 이모저모 알아 보았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