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관리비 고지서를 보는 순간
띵.. 어 이게 뭐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와우 정말 이건 뒷목 잡는 상황이었죠.
난방비, 전기세가 장난 아니었죠..
평균 37만 원 정도였는데 이번엔 50만 원 ㅠㅠ
:
:
이미 오른 가격을 어쩔 수 없지만 그 와중에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해 봐야죠? ㅎ
난방비를 줄이려면 잘 안 쓰는 방 밸브 다 잠그기보다
30% 열어두는 게 오히려 효율적이라고 하네요.
수도꼭지 냉온 위치와 난방비는 무관하고요
가습기 틀면 온도 상승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된다고 하네요

 

 

전문가들이 추천하는 난방비 줄이는 법을 소개합니다.

 

3 일 이상 외 출시

개별난방 : 보일러 전원 OFF로 하지 말고 외출모드로 ON
지역난방 : 외출모드 가급적 쓰지 말고 설정온도 1~2도 낮추기

난 방 밸 브 잠 금

잘 안 쓰는 방이더라도 완전히 밸브를 잠그기보다는 약간 열어두는 게 효율적

 

예 약 주 기 기 능

외출할 때보다는 잠잘 때처럼 집 안이 따뜻한 상태에서 써야 효과적.

 

수 도 꼭 지 방 향

온 수 쪽으로 돌려두기만 한다고 해서 난방비가 더 나가는 건 아님.

 

배 관 청 소

개 별 난 방 : 분배기 결함인지 배관 문제인지 전문가 상담 후 결정
지 역 난 방 : 유속이 느려 이물질이 잘 낄 수 있어 10년간 한 번도 안 했다면 청소해야 함.


난방비는 상황에 맞게 잘 활용해야 난방비 절약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보통 주방 싱크대 밑에 분배기가 설치돼 있고
거실, 안방등으로 가는 각 배관 밸브를 열고 잠글 수 있어요.
만약 똑같은 한 시간 동안 보일러를
가동했는데 밸브 5개 중 1개를 잠갔다고 해서
난방비가 덜 나오진 않는다고 하네요

 

" 추울수록 가습기를 같이 돌려야 할까? "
정답은 " 네 "입니다
집 안 전체가 따뜻하려면 공기 순환이 잘 이뤄져야 하는데
이때 체크해야 할게 습도다.
적적 습도를 유지하기 위해 가습기를 틀어두면
실내 온도를 더 빨리 올릴 수 있다고 합니다.

수도꼭지의 방향은 꼭 냉수 쪽으로 돌려둬야 하나.
아닙니다. 단지 수도꼭지 방향 때문에 난방비가 더 나오는 건 아닙니다.
아무래도 수도꼭지를 온수 방향에 두면 굳이 온수를 쓸 필요가 없는데도
자꾸 쓰기 때문에 난방비가 늘어나는 것이고,
사용할 때
냉수 방향으로 돌려서 쓰면 문제가 없다고 합니다.
오늘은 난방비 절약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 보았습니다.
서민들이 너무 살기 팍팍한 세상이네요.
하지만 절약하는 방법이 있으니 생활 속에 적용해 보고
다음 달 요금이 제발 적게 나오기를......
기대해 보아요~

+ Recent posts